게임개발학과
3년제
게임 아이디어를 상상하고 콘텐츠와 규칙을 설계할 수 있는 게임기획자.
게임을 서비스하고 관리하며, 운영할 수 있는 게임 운영자와 게임테스터(QA).
게임 엔진과 게임 프로그래밍을 학습하여
게임을 직접 구현하고 제작할 수 있는 게임 프로그래머.
자신의 능력과 적성, 목표를 가지고
게임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는 게임개발학과입니다.
교과목 | 교육내용 |
---|---|
게임분석 | 성공한 게임의 게임성을 분석하고 사업적인 가치가 있는지 판단하여, 개발기간과 인력, 비용에 대해 유추한 후 기획 문서를 작성 |
게임아이디어발상 | 게임아이디어 발상을 통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학습하며, 만들어진 아이디어가 현실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사용자, 개발환경, 산업 이슈를 고민하여 제작한 게임 제안서 작성 |
게임엔진의 이해 | 게임엔진 응용 프로그래밍이란 상용으로 판매하는 게임 엔진과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게임을 제작하도록, 상용 게임엔진 활용하기, 상용 게임엔진 응용 프로그래밍, VR 게임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능력 |
게임산업의 이해 | 게임 산업의 이해에서는 게임 산업을 이해하고 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하여 사업을 기획하며,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게임 산업에서는 preproduction pré·prodúction : 게임 제작 전 단계. 제작을 진행하기 전 준비과정으로 사업을 계획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제작될 게임을 검증하고 제작단계로의 진행을 결정하는 단계. 단계에서 투자 유치와 관리 및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해 |
게임운영서비스분석 | 게임운영서비스분석에서는 게임 제작단계 이후 게임을 서비스하기 시작하여 유저에게 공개된 게임의 운영(유지, 보완, 제작)을 위해 알아야 할 기획 과정 |
게임프로그래밍기초 | 게임 프로그래밍 기초에서는 설정된 게임 세계의 배경 위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는 캐릭터와 오브젝트들의 규칙을 구현하는 방법을 학습 |
2D모바일게임제작I | 2D모바일게임제작 과정에서는 2D게임 제작의 과정과 제작 방법, 제작 후 테스트 방법을 학습하여 2D로 구성된 게임을 제작 |
게임제작프로젝트 | 게임 제작을 위한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확인하고 각 단계에 따른 계획과 관리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성공한 게임 프로젝트를 만들어 내는 것이 게임 제작 프로젝트의 핵심이다. |
게임알고리즘의이해 | 게임알고리즘의이해 과목에서는 다양한 자료구조의 특징을 확인하고 구현하며, 기획된 의도에 맞도록 자료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 또한 자료구조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하며,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. |
게임레벨디자인 | 게임레벨디자인은 사용자가 게임플레이를 통해서 핵심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밸런스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 밸런스 공식 기획, 데이터 작성, 공간의 설계와 콘테츠 배치하는 능력을 말한다. |